그동안 블로그에 글을 쓸때 변경사항등이 생기면 구글 search console등에 들어가서 색인 요청을 합니다. 좀 불편해도 검색엔진 세상에선 그게 당연한건가보다 하고 살았습니다. 최근에 SEO쪽 개발 검토 의뢰가 있어서 기술 조사를 하다가 IndexNow 라는 곳에서 색인 요청 자동화 관련 협의가 진행되고 있는걸 알게 되었습니다.
IndexNow
규약으로 검색엔진에 내 고유키와 변경된 내 페이지 url을 open api와 같이 검색엔진 url에 파라미터로 전달하면 검색엔진쪽에서 컨텐츠가 변경되었음을 감지하고 재색인을 하도록 제공하자라는 규약 입니다.
https://www.indexnow.org/ko_kr/documentation
API 사용 방법
호출 규격은 심플합니다.
https://<searchengine>/indexnow?url=url-changed&key=your-key
url은 재색인 필요한, 다시말해 수정된 내용이 있는 페이지이고 key 는 최소 8자, 최대 128자의 16진수 문자 입니다.대소문자숫자 대시 포함입니다.
여러개의 url을 동시에 등록할 경우에는 post에 json으로 body를 채워 호출하게 됩니다.
POST /indexnow HTTP/1.1
Content-Type: application/json; charset=utf-8
Host: <searchengine>
{
"host": "www.example.com",
"key": "52bba9f597c3496a8a7ab29c6e9b224c",
"urlList": [
"https://www.example.com/url1",
"https://www.example.com/folder/url2",
"https://www.example.com/url3"
]
}
key 관리
key는 해당 url관련 소유권을 증빙하기 위한 용도 입니다. 자신의 사이트에 다음과 같은 규격으로 파일을 저장합니다.
키가 52bba9f597c3496a8a7ab29c6e9b224c 일경우
1. 사이트 루트에 52bba9f597c3496a8a7ab29c6e9b224c.txt 파일 생성
2. 파일 안에 52bba9f597c3496a8a7ab29c6e9b224c 입력
이렇게 해서 외부에서 https://www.expample.com/52bba9f597c3496a8a7ab29c6e9b224c.txt 로 호출할 경우 위에 지정된 리소스에 접근이 가능하면 됩니다. 키파일이 다른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위의 API 사용시 keyLocation 파라미터로 키파일 경로를 지정하면 됩니다. 여러개의 복수 변경일 경우에도 json 파일내에 keyLocation 값을 지정하면 동일한 효과를 낼수 있습니다.
마무리
구글, 네이버, 빙등의 검색엔진들이 IndexNow를 이미 적용해서 활용중입니다. 컨텐츠를 검색엔진으로 노출시켜서 유입을 유도하는 서비스의 경우 이 기능을 활용하여 노출, 유입 효과를 높일수 있지 않을까 판단됩니다.
'IT 기술 관련 >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툴을 잘쓰면 퇴근이 빠르다 - vi 붙여넣은 내용이 계단처럼 표시 될때 (자동 들여쓰기 방지) (0) | 2025.04.18 |
---|---|
서비스 접속이 안될때 ip, port 체크 항목 (2) | 2025.03.04 |
툴을 잘쓰면 퇴근이 빠르다 - 엑셀에서 json 로딩 (0) | 2025.01.24 |
공휴일 api 연동 중 임시 공휴일이나 대체 공휴일 보완방법 (2) | 2025.01.23 |
Redis? Caffeine? 적절한 캐시 활용 (0) | 2024.07.26 |